1.단백질(당뇨신장질환)

- 단백질은?
  단백질(Protein)은 세뇨관에서 재흡수가 되고, 건강한 반려동물의
  소변에서도 미량의 단백뇨가 검출됩니다.
  단백뇨는 신장질환, 요로감염, 혈뇨, 혈관 내 용혈에 의해 발생할 수
  있습니다.

- 의심되는 질환
  (양성반응 소견)
  신장질환, 신부전, 과로, 요로감염증
  생리적단백뇨, 방광염, 당뇨병, 사구체질환

- 전문 의료기관 추가 검사 요침사, 요비중, BUN, Creatinine,
   신기능 검사

- 신장기능 (신장요로질환)

2.포도당 (당뇨신장질환)

- 포도당은?
  포도당 (Glucose)은 반려동물의 중요한 에너지원입니다.
  건강한 강아지나 고양이의 경우에도 소변 내 포도당이 검출될 수 있으며,
  고양이의 경우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

- 의심되는 질환
  (양성반응 소견)
  당뇨병, 취장염, 신장질환, 내분비 질환
  소화기 질환, 신성당뇨, 스트레스성 고혈당증, 뇌내출혈

- 전문 의료기관 추가 검사  
   혈당, Glucose부하 검사

- 당뇨관리 / 신장기능 (당뇨병 / 신장요로질환)

3.비중(신장질환)

- 비중은?
   요비중(Specific Gravity)은 당뇨나 심한 탈수 증세로 인해 비중이
   높아질 수 있으며, 체내 호르몬에 이상이 생기면 요비중이 낮아질
   수 있습니다. 비중은 소변의 농도를 의미하며, 신장의 기능을 

   확인하는  중요한 부분입니다.

- 의심되는 질환  
  (양성반응 소견)
   저비중  > 수분과잉섭취, 신부전, 이뇨기, 요붕증, 신우신염, 쿠싱
   고비중  > 수분섭취제한, 탈수증, 당뇨병, 방광염

- 전문 의료기관 추가 검사  
   요침사, 신장기능검사, 요세균검사, Hormone측정 혈당, 혈장삼투압

- 신장기능 (신장질환 / 당뇨병 / 쿠싱 / 방광염)


4.잠혈 (신장요로질환)

- 잠혈은?
   잠혈 (Blood)은  반려동물의 소변에 혈액이 섞여 있는 

   상태를 의미합니다.
   소변에서 적혈구(혈뇨), 헤모글로빈 및 마이글로빈은 

   혈뇨에 의한 양성 반응이 나타납니다.

- 의심되는 질환
  (양성반응 소견)
   방광염, 요로결석, 요로감염,
   신장 질환, 요로질환, 비뇨기 질환

- 전문 의료기관 추가 검사    요침사, 요비중, BUN, CBC, Creatinine,
  신기능검사

- 신장기능 / 요로기능 (신장요로질환)

5.케톤체 (당뇨병)

- 케톤체는?
  케톤체 (Ketones)는 생체 내 인슐린이나 탄수화물 대사가 원활하지
  않을 경우, 지방분해가 증가하면서 생성되는 불완전 대사의 산물입니다.

- 의심되는 질환
  (양성반응 소견)  
  당뇨병, 구토, 자가중독, 케톤산증

- 전문 의료기관 추가 검사  
  혈당, 요당, 혈청지질, 혈액가스

- 당뇨관리 (당뇨병)

6.백혈구 (요로질환)

- 백혈구는?
  백혈구 (Leukocyte)는 혈액에 속한 세포에 포함되며, 신장이나
  방광 내 세균 감염의 원인으로 소변에서도 검출될 수 있습니다.

- 의심되는 질환
 (양성반응 소견)
  방광염, 신우신염, 무균성농뇨, 요로감염, 신장질환, 전립선염

- 전문 의료기관 추가 검사 요침사, 요세균검사, CBC

- 요로기능 (방광염 / 요로감염증)

7.빌리루빈 (간질환)

- 빌리루빈은?
  빌리루빈 (Bilirubin)은 헤모글로빈에서 만들어지며, 신역치를
  넘기게 되면 포합형 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.
  건강한 강아지(수컷 개)의 경우 소변의 농도가 높은 경우
  양성반응이 흔히 나올 수 있습니다.

- 의심되는 질환
  (양성반응 소견)
  간세포장애, 담도폐색, 용혈성 빈혈
  간담관질환, 간기능 장애, 간염

- 전문 의료기관 추가 검사    간기능검사

- 간기능 (간.담관질환)

8.우로빌리노겐 (간질환)

- 우로빌리노겐은?
  우로빌리노겐 (Urobilinogen)은    
  담즙 속 헤모글로빈이 장내 (대장 또는 소장) 세균에 의해
  분해되어 신장을 통해 소변에서 검출됩니다.

- 의심되는 질환
  (양성반응 소견)  
  간담관질환, 악성빈혈, 황달, 울혈성심부전
  용혈성 빈혈, 담도폐쇄

- 간기능 (간.담관질환)

9.아질산염 (요로질환)

- 아질산염은?
  아질산염 (Nitrite)은 요로 감염증의 판별 요소로 세균으로 인해  
  각종 염증이 있을 때 소변에서 검출됩니다.

- 의심되는 질환
  (양성반응 소견)
  방광염, 신우신염 ,요로감염, 요도결석

- 전문 의료기관 추가 검사  요침사, 요세균검사

- 요로기능 (방광염)

10.pH(신장질환)

- pH는?
   pH(산성도)는 소변의 산도를 측정하는 수치이며, pH 수치가
  낮을수록 산성, 높을수록 알칼리성입니다.
  산성 소변은 고단백질 식단에 의해 발생하며 반대로 알칼리성
  소변은 채소 위주의 식단, 세균감염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.

- 의심되는 질환
  (양성반응 소견)
  산성  > 중증당뇨병, 통풍, 기아, 신장염, 탈수증, 결석증
  알칼리성  > 요로감염증, 결석증, 과호흡, 구토

- 전문 의료기관 추가 검사 요침사, 임상화학검사, 혈액가스

- 신장기능 (신장요로질환)